본문 바로가기

370. 전공 교과6

한국어 자음 체계 완전 정리!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와 방법까지 한눈에! 국어 공부에서 기본 중의 기본, 한국어 자음 체계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자음의 정의부터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와 방법, 그리고 각 자음의 발음 특성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1. 자음이란?자음(子音)은 발음할 때 공기가 조음 기관을 통과하면서 장애를 받아 생기는 소리입니다. 한국어에는 총 19개의 자음이 있으며, 각각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한국어 자음 목록: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2. 한국어 자음 체계표자음을 조음 위치와 방법을 기준으로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어 자음 체계표조음 방법 \ 조음 위치양순음(두 입술)치조음(혀끝과 윗잇몸)경구개음(혀와 경구개)연구개음(혀와 .. 2025. 4. 10.
한국어 불규칙 활용 정리 한국어 불규칙 활용 정리: 전공자를 위한 체계적 분류불규칙 활용이란?불규칙 활용은 규칙적인 음운 변화나 문법 규칙에 따르지 않고, 특정 어형에서 어간 또는 어미의 형태가 예상과 다르게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형태소 분석이나 문법 교육에서 특히 중요한 주제입니다.한국어 불규칙 활용은 크게 어간 불규칙, 어미 불규칙, 어간-어미 불규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불규칙 활용의 분류 및 예시1. 어간 불규칙어간의 형태가 변화하는 유형입니다.유형예시설명ㅅ불규칙짓- + -어 → 지어어간 말의 'ㅅ'이 어미 앞에서 탈락ㄷ불규칙걷- + -어 → 걸어'ㄷ'이 'ㄹ'로 교체됨ㅂ불규칙돕- + -아 → 도와'ㅂ'이 '오/우'로 교체됨르불규칙흐르- + -어 → 흘러'르'가 'ㄹ' 첨가 + 모음 축약우불규칙푸- + -어 →.. 2025. 4. 3.
국제 음성 기호(IPA) 정리 IPA란 무엇인가?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는 전 세계 모든 언어의 음성을 하나의 체계로 기술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통일 음성 기호 체계입니다. 이는 소리의 실제 실현 방식, 즉 음성(phonetics)의 층위에서 언어를 기술하고자 할 때 유용하며, 문자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언어에서 특히 유용합니다.국어의 경우에도 한글이 표기와 발음이 1:1 대응이 아닌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IPA를 통해 실질적인 발음을 더 정확히 기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물’은 실제로 [궁물]에 가깝게 발음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자음 동화 등 음운 현상과도 관련됩니다.IPA의 기본 체계IPA는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1. 자음 (consonants).. 2025. 4. 3.
언어와 매체 수행평가 최근 주요대학에서 교과 세특에 진로 내용을 작성하지 말아달라고 자주 언급하고 있다.이런 까닭에 언어와 매체 교과에서 최대한 '언어학'과 '매체' 자체에 대한 학업 역량이 두드러질 수 있도록 과제를 구성하였다. 채점 방식은 의외로 간단하다.내가 게으른 탓에, 여태 수행평가는 분량만 채우면 만점을 주고 있다.변별은 지필평가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약 3~5차시 동안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고, 학생들은 1쪽의 에 제시된 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을 진행하면 된다. 의 과제들 중 일부는 언어과학회에서 들을수 있었던 다양한 발표 주제들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 2024. 7. 16.
[시조] 땀은 듣난 대로 듯고 / 위백규 원문땀은 듣난 대로 듯고 볏슨 쬘대로 쬔다.청풍에 옷깃 열고 긴 파람 홀로 불 제어듸셔 길 가는 손님 아난 드시 머무는고.현대어 풀이땀은 떨어질 대로 떨어지고 볕은 쬘 대로 쬔다.맑은 바람에 옷깃을 열고 긴 휘파람을 흘려 불 때어디서 길가는 손님이 아는 듯이 발걸음을 멈추는구나.이해와 감상이 작품은 햇볕 아래에서 땀 흘리면서 일하는 농부를 통해 노동의 고귀함을 간접적으로 일깨우는 작품이다. 초장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농부의 모습을, 중장에서는 일한 뒤의 잠깐 동안의 휴식을, 그리고 종장에서는 길가는 손님이 농부가 쉬고 있는 옆에서 가만히 같이 쉬고 있는 모습을 노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농촌의 일상적인 삶을 편안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초장의 역동적인 모습과는 달리 중장과 종장은 정적이면.. 2023. 8. 22.
[시조] 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 원문대쵸 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ᄠᅳᆺ드르며,벼 뷘 그르헤 게ᄂᆞᆫ 어이 ᄂᆞ리ᄂᆞᆫ고.술 닉쟈 쳬쟝ᄉᆞ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현대어 풀이대추의 볼이 붉게 익은 골짜기에 밤은 어찌 뚝뚝 떨어지며,벼를 베고 난 그루터기에 게는 어찌 나와 다니는가?술이 익자마자 체 장수가 (체를 팔고) 돌아가니 (새 체로 술을 걸러서) 먹지 않고 어찌하겠는가?이해와 감상풍요로운 가을 농촌의 모습과 함께 그 속에서 욕심 없는 태도로 전원생활의 한가로움을 즐기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대추와 밤이 익어 저절로 떨어지고, 벼 벤 그루터기에 게가 기어오르고, 담근 술마저 익었는데, 때마침 체 장수까지 지나가니 어찌 술을 마시지 않겠느냐는 시상 전개의 자연스러움이 돋보인다. 관념적인 자연이 아닌 현실적이며 구.. 2023.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