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70. 전공 교과/국어학

[음운론] 한국어 자음 체계 정리

by 만년교생 2025. 4. 10.

국어 공부에서 기본 중의 기본, 한국어 자음 체계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자음의 정의부터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와 방법, 그리고 각 자음의 발음 특성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자음이란?

자음(子音)은 발음할 때 공기가 조음 기관을 통과하면서 장애를 받아 생기는 소리입니다. 한국어에는 총 19개의 자음이 있으며, 각각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

한국어 자음 목록: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2. 한국어 자음 체계표

자음을 조음 위치와 방법을 기준으로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어 자음 체계표

조음 방법 \ 조음 위치 양순음
(두 입술)
치조음
(혀끝과 윗잇몸)
경구개음
(혀와 경구개)
연구개음
(혀와 연구개)
성문음
(성대)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유음        

 


3. 조음 위치별 자음 분류

자음이 어디에서 형성되는지에 따라 나뉘는 기준입니다.

  • 양순음: ㅂ, ㅃ, ㅍ, ㅁ — 두 입술로 발음
  • 치조음: ㄷ, ㄸ, ㅌ, ㄴ, ㄹ, ㅅ, ㅆ — 혀끝이 윗잇몸에 닿음
  • 경구개음: ㅈ, ㅉ, ㅊ — 혀 앞부분이 센입천장에 닿음
  • 연구개음: ㄱ, ㄲ, ㅋ, ㅇ — 혀 뒷부분이 여린입천장에 닿음
  • 성문음: ㅎ — 성문(목청)에서 나는 소리

4. 조음 방법별 자음 분류

자음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따른 분류입니다.

  • 파열음: ㄱ, ㄲ, ㅋ / ㄷ, ㄸ, ㅌ / ㅂ, ㅃ, ㅍ — 막은 공기를 갑자기 터뜨림
  • 마찰음: ㅅ, ㅆ, ㅎ — 좁은 틈 사이로 공기가 지나가며 마찰
  • 파찰음: ㅈ, ㅉ, ㅊ — 막았다가 서서히 터뜨리며 마찰
  • 비음: ㄴ, ㅁ, ㅇ — 공기가 코로 빠짐
  • 유음: ㄹ — 혀끝이 잇몸에 닿았다 떨어지며 소리냄

5. 평음, 격음, 경음: 소리의 세기

한국어 자음은 기류의 세기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

  • 평음: ㄱ, ㄷ, ㅂ, ㅈ
  • 격음: ㅋ, ㅌ, ㅍ, ㅊ — 거센소리
  • 경음: ㄲ, ㄸ, ㅃ, ㅆ, ㅉ — 된소리

예시: ㄱ - ㄲ - ㅋ → 점점 세게 발음


6. 자음의 음절적 특성

  • 자음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으며, 반드시 모음과 결합해야 발음됩니다.
  • 예: ‘가’ = ㄱ(자음) + ㅏ(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