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0. 기반연구/About Obsidian

학교 교사의 옵시디언 사용기

by 만년교생 2025. 4. 1.

텍스트를 중심으로 쌓아올린 반복의 기록

1. 기록의 과잉, 구조의 부재

교사의 업무는 대부분 텍스트로 남는다. 수업안, 상담일지, 생활지도 메모, 회의록, 공문, 연수 정리, 각종 신청서 작성까지. 하루에도 수십 개의 파일과 문장을 다룬다. 하지만 이 모든 기록은 구조 없이 흩어지기 쉽다. 무엇을 언제, 왜, 어떻게 했는지를 나중에 되짚기란 어렵다. 기록은 많은데, 체계는 없다.

옵시디언은 이 비효율의 틈을 정리하기에 적합한 도구다. 마크다운 기반의 단순한 텍스트 파일이지만, 링크와 태그를 통해 관계를 맺고, 연결을 통해 흐름을 만든다. 분산된 정보를 하나의 구조로 묶는 데에 강점을 가진다.

 

2. 옵시디언의 구조적 강점

  • 모든 문서는 .md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 버전 관리와 백업이 용이하다.
  • 문서 간 링크를 통해 개념이나 업무 흐름을 연결할 수 있다.
  • 태그와 내부 링크를 활용하면 검색성과 연관성이 높아진다.
  • 한 해의 수업, 한 해의 업무를 하나의 지식 망으로 축적할 수 있다.

 

3. 수업 자료의 정리

3.1 단원 중심의 노트 구성

예: 국어/1학년/문법/품사 개관.md

  • 학습 목표
  • 발문 및 질문
  • 활동지 및 평가 문항
  • 관련 단원 링크
[[국어/1학년/문법/용언의 활용]]
[[공통 개념/문법 체계]]

3.2 반복 수업의 아카이빙

  • 연도별 차이점은 주석 처리
  • 학습 활동 반응, 질문 유의점 등을 수업 후 피드백 형식으로 기록
  • 활동지 파일 링크, 관련 학습 자료 아카이브

 

4. 학급 운영과 상담 기록

4.1 학생별 상담일지 구조화

  • 학생 이름으로 문서 생성: 상담기록/홍길동.md
  • 날짜별 상담 내용 누적
  • 진로 변화, 생활 패턴 변화 등 기록을 통해 시간의 흐름 추적 가능
## 2025-03-30
- 진로: 간호학과 관심
- 수업 집중력 향상

4.2 생활기록부 및 서류 작성에의 활용

  • 축적된 상담 기록은 서술형 평가 문장 구성의 기반이 된다.
  • 일회성이 아닌, 흐름 중심의 판단 가능

 

5. 업무의 체계적 정리

5.1 업무 메뉴얼화와 정리 구조

  • 연간 업무 분장을 하나의 문서로 정리: 업무/2025_업무분장.md
  • 각 업무는 별도의 문서로 분기: 업무/생활통제계획.md, 업무/학생평가관리.md
  • 업무별 진행 흐름, 사용 양식, 관련 공문 링크 등을 함께 정리

5.2 블로그 목차를 예시로 활용한 업무 체계화

실제 블로그 글 정리를 기준 삼아 업무용 목차도 구성:

- 업무 개요
- 관련 일정
- 사용 양식 및 작성 예시
- 관련 회의록
- 연계 문서

각 업무별 문서를 이런 틀에 맞춰 정리하면, 작성자 외의 누구라도 문서를 읽고 곧바로 실무에 착수할 수 있다.

 

6. 인수인계를 위한 기록의 구조화

  • 업무 문서를 구조화하면 인수인계 시 별도의 설명이 필요 없다.
  • 후임자는 해당 업무 문서만 읽어도 업무 흐름, 필요 양식, 유의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 체계적인 기록은 반복 업무를 줄이고, 실수 가능성을 낮춘다.

 

7. 연결되는 기록의 감각

텍스트는 단순하다. 하지만 구조화된 텍스트는 흐름을 만든다. 옵시디언은 그 구조를 다듬는 데에 유용한 도구다. 반복되는 일을 다시 쓸 필요 없이, 문서를 연결하고 수정하고 이어붙이면서 업무는 점점 단단해진다. 기록을 습관으로 만들고, 그 기록에 연결을 더하면 결국 개인의 업무는 하나의 체계로 완성된다.